중국 AI 스타트업 DeepSeek, 545% 이익률 주장
중국 AI 스타트업 DeepSeek이 자사 AI 모델의 이익률이 545%에 달한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이론적 수익"을 기반으로 한 계산이다.
이론적 매출 계산 방식 공개
DeepSeek은 최근 GitHub 게시물을 통해 이러한 이익률 산출 방법을 설명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자체 개발한 V3 및 R1 모델이 24시간 동안 R1 모델의 가격으로 완전히 청구될 경우, 일일 매출은 약 56만 2,027달러(약 7억 7,000만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GPU 임대 비용은 8만 7,072달러(약 1억 2,000만 원)로, 이론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실질 수익과 이론적 계산 간의 차이
그러나 DeepSeek은 실제 수익이 이보다 크게 낮다고 인정했다. 할인 정책과 무료 서비스 제공 등 여러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에, 현재의 이익률 계산은 기업의 실제 재무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이론적 추정에 불과하다는 점을 밝혔다.
OpenAI와 경쟁하는 중국 AI 기술
DeepSeek은 최근 고급 반도체 접근에 제한을 받는 상황에서도 OpenAI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보인다는 평가를 받으며 주목받았다. 이 회사의 AI 애플리케이션은 한때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1위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이후 순위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편집자 의견
DeepSeek의 이익률 주장에는 다소 과장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론적 매출을 기반으로 한 계산은 기업의 실제 재무 상태를 반영하기 어려운 만큼, 투자자나 업계 관계자들은 이를 신중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다만, 중국 내 AI 기술 발전 속도를 감안하면 DeepSeek이 향후 경쟁력을 높여나갈 가능성도 충분히 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