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DeepSeek' 금지 움직임… 데이터 유출 우려
미국 의회가 'DeepSeek'의 금지를 추진하고 있다. 보안 연구자들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데이터를 미국에서 금지된 중국 국영 기업에 전송하는 사실을 밝혀냈기 때문이다.
빠르게 성장한 AI, 국가 안보 위협으로
DeepSeek은 등장 당시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나, 뛰어난 성능으로 주목받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급격히 성장했다. 무료로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 덕분에 경쟁력을 확보했으며, 이 과정에서 'TikTok 사태'와 비교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미국 내에서 데이터 수집 방식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OpenAI는 중국 AI 스타트업과 연계된 그룹에 의해 보안 침해가 발생한 상황을 조사하고 있다. DeepSeek 역시 미국의 AI 기업들과 경쟁하며 빠르게 입지를 다졌지만, 중국 공산당(CCP)과의 연관성이 의심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보안 연구자들, DeepSeek의 데이터 유출 확인
보안 전문가들은 DeepSeek의 인공지능 시스템 내부에서 숨겨진 코드를 확인했다. 이 코드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가 중국 국영 통신사 '차이나 모바일'에 전송되고 있었다. 참고로 차이나 모바일은 미국에서 이미 금지된 기업이다. DeepSeek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도 논란을 키우고 있다. 이를 보면 IP 주소, 키 입력 패턴 등 광범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미국 정부 및 주요 기관, DeepSeek 차단 추진
이러한 문제로 인해 미국 의회에서 공화당과 민주당이 초당적으로 DeepSeek의 사용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다린 라후드(Darin LaHood) 하원의원과 조시 고트하이머(Josh Gottheimer) 하원의원이 주도적으로 DeepSeek을 모든 정부 발급 기기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이미 NASA와 미국 해군(US Navy)을 포함한 여러 연방 기관에서 DeepSeek 사용을 금지했다. 또한 텍사스주에서도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제한을 도입했다.
글로벌 규제 확산… AI가 '지정학적 문제'로 떠올라
이번 논란은 이전의 TikTok 사례와도 유사하지만, DeepSeek의 경우 명확한 데이터 유출 증거가 드러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DeepSeek 금지 움직임은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호주, 한국, 이탈리아 등 여러 국가가 DeepSeek에 대한 사용 제한 또는 금지를 검토 중이다.
AI 기술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해당 산업이 지정학적 갈등의 중심에 서고 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패권 다툼 속에서 미국은 오랫동안 AI 산업을 주도해 왔다. 하지만 DeepSeek 같은 중국산 AI 서비스가 급성장하면서 국가 안보와 데이터 주권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불가피해졌다.
DeepSeek, '진짜 무료'인가 '데이터를 대가로 한 서비스'인가
DeepSeek이 빠르게 성장한 배경에는 무료 기능 제공이 있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사용자가 접속한 대가로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이 희생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보안 전문가들은 DeepSeek이 수집한 데이터가 중국 정부의 감시에 활용될 가능성이나, 경제적 조작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미국 내에서 DeepSeek 금지 법안이 통과될 경우, 전국적인 사용 제한 혹은 완전한 금지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이번 사태는 AI 기술이 어떻게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지, 그리고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어떤 조치가 필요한지를 다시금 환기시키고 있다.
향후 규제 강화 불가피… AI 윤리 논쟁 가속화
DeepSeek을 포함한 AI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규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데이터 보호 및 국가 안보 문제는 물론, AI 개발에 있어 윤리적 한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이번 사태는 AI 기술이 단순한 혁신을 넘어, 정치적·경제적 이해관계와 얽힌 글로벌 이슈로 떠오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AI 산업이 성장할수록 각국의 규제와 감시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의견
DeepSeek 사태는 AI 산업의 미래에 있어 중요한 경고 신호가 될 수 있다. AI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될 때,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가 어떤 방식으로 처리되는지 더욱 신중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또한, 각국 정부 역시 AI 기술의 성장 속에서 데이터 보호와 국가 안보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AI가 단순한 상업적 도구가 아닌, 국가 간 전략적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이번 사례는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