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AI 기술 혁신, 미국 기업 위협
최근 중국의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글로벌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특히 중국 AI 기업인 DeepSeek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OpenAI의 성능을 복제한 모델을 출시하면서, 투자자들과 분석가들을 놀라게 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AI 산업을 주도하던 미국 기업들의 우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NVIDIA, 하루 만에 5000억 달러 손실
DeepSeek의 신기술 발표 이후, AI 반도체 분야의 선두주자인 NVIDIA의 주가는 충격을 받았다. NVIDIA는 단 하루 만에 5000억 달러 이상의 시가총액을 잃는 기록적인 손실을 기록했으며, 이는 시장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투자자들은 DeepSeek을 비롯한 중국 기업들이 AI 기술에서 눈부신 성과를 보이며 미국의 AI 선도 기업들과 경쟁할 잠재력을 지녔다고 판단하고 있다.
중국 AI 기업들의 경쟁 가속화
DeepSeek 외에도 여러 중국 기업들이 자사의 AI 모델을 속속 발표하며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이들은 최신 AI 모델을 앞세워 OpenAI 및 Meta와 정면 승부를 펼치고 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
1월 29일,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Qwen 2.5-Max'라는 AI 모델을 출시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에 따르면, 이 모델은 DeepSeek V3와 Meta의 Llama 3.1을 포함한 총 11개 벤치마크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Zhipu
베이징에 본사를 둔 Zhipu는 알리바바의 지원을 받는 스타트업으로, 최근 미국 정부가 중국의 군사 발전을 돕고 있다는 이유로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지난해 10월, Zhipu는 'AutoGLM'이라는 AI 기반 음성 비서 앱을 출시해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보다 복잡한 음성 명령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했다.
Moonshot AI
또 다른 알리바바 지원 스타트업인 Moonshot AI도 1월 20일 'Kimi k1.5' 모델을 공개했다. 이 모델은 한 번의 프롬프트에 20만 개의 중국어 문자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후 더욱 향상된 버전에서는 최대 200만 개의 문자를 처리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되었다.
ByteDance
틱톡 모회사인 ByteDance 역시 AI 분야에서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1월 29일, ByteDance는 자사의 대표 AI 모델을 업그레이드한 'Doubao-1.5-pro'를 공개했으며, 일부 테스트에서 OpenAI의 o1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였다고 주장했다.
Tencent
텐센트는 자체 AI 모델 'Hunyuan'을 앞세워 경쟁에 나섰다. Hunyuan은 텍스트를 비디오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Meta의 Llama 3.1 수준의 성능을 보인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Hunyuan은 Meta의 Llama 모델을 훈련하는 데 사용된 컴퓨팅 자원의 10분의 1만으로 훈련되었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주목받고 있다.
중국 AI 산업, 글로벌 영향력 강화
중국 AI 기업들이 미국 기업들의 기술력과 대등하거나 능가하는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표하면서 글로벌 AI 시장의 판도가 변화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및 AI 산업의 거물인 NVIDIA가 큰 타격을 입은 것은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사례다. 앞으로 중국의 AI 산업이 얼마나 더 성장할지, 그리고 미국 기업들이 이에 어떻게 대응할지 주목된다.
[의견]
중국의 AI 기술 발전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글로벌 AI 시장의 경쟁 구도가 재편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미국의 대중(對中) 기술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 기업들이 혁신적인 AI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것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향후 AI 기술의 발전 방향이 어떻게 흘러갈지, 그리고 이것이 산업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