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챗봇 실력 비교… 성능과 한계는?
최근 여러 AI 챗봇이 테스트를 통해 비교되었다. OpenAI의 ChatGPT, 중국의 DeepSeek, 일론 머스크가 개발한 Grok 등이 포함되었으며, 각각의 챗봇이 다양한 방식으로 질문에 답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ChatGPT, 셰익스피어풍 소네트 작성 도전
ChatGPT는 가장 널리 알려진 챗봇 중 하나로, 인공지능의 인간 사회에 대한 영향을 다룬 셰익스피어풍 소네트 작성을 요청받았다. 처음에는 정책 위반 여부를 신중히 고려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결국 요청을 받아들여 시를 생성했다. 다만, 전통적인 음보(음절 패턴)인 '약강 5보격(iambic pentameter)'을 완벽히 따르지는 않았다. 이는 ChatGPT가 '사고의 연쇄(chain of thought)' 방식을 활용해 창작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줬다.
DeepSeek, 정치적 질문엔 침묵
중국에서 개발된 DeepSeek은 다른 방식으로 작동했다. 이 챗봇은 중국 정치나 논란이 될 수 있는 인물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피했다. 예를 들어, '텐안먼 사건'에 대한 질문에 응답을 거부하는 등 안전한 답변을 생성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였다. 이는 DeepSeek이 문화적 훈련을 반영하는 챗봇임을 보여준다.
Grok, 논란 속에서도 솔직한 태도 유지
일론 머스크가 만든 Grok은 다른 챗봇들과 달리 논쟁적인 주제에 대해 직접적인 입장을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행정 명령에 대한 질문에서는 비판적인 의견을 제공했으며, 유머 요소도 포함했다. 특히 '나를 놀려 봐(roast me)' 같은 요청에도 독창적인 반응을 보이며 유쾌한 면모를 드러냈다.
Gemini, 시각적 정보 해석 능력 강조
구글의 Gemini는 이미지 해석 능력에서 강점을 보였으며, 사진을 분석하여 대답하는 데 능숙했다. 하지만 시계의 시간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등 일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Claude, 안전성 우선하지만 한계 존재
Anthropic의 Claude는 안전한 답변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나, 간혹 복잡한 질문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이는 Claude의 운영 방식이 안정성을 우선시하지만, 연산 처리에 있어서 한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Meta 챗봇, 상식적 질문에 강한 면모
Meta가 개발한 AI 챗봇은 상식적인 질문에 대해 비교적 뛰어난 답변을 제공하며, AI 기술의 발전을 엿볼 수 있도록 했다.
챗봇 비교, 민감한 주제 처리 방식 차이 드러나
이번 테스트를 통해 다양한 챗봇들이 각각의 방식으로 질문을 처리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챗봇이 유창한 답변을 제공하는데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민감한 주제에 대한 반응 방식과 운영상의 제약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테스트 결과를 종합하면, AI 챗봇 간의 차이점이 단순한 기술적 우열이 아니라 설계 방향과 윤리적 기준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다. 특히, 각 챗봇의 문화적 배경과 정책이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점이 흥미로운 부분이었다. 앞으로도 AI 챗봇이 더욱 정교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각 나라와 기업의 가치관이 AI 응답 방식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