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롱, "유럽과 프랑스를 AI 허브로" 선언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파리에서 열린 AI 정상회의에서 유럽과 프랑스를 AI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투자자 및 기술 기업들에게 "AI를 위해 유럽과 프랑스를 선택하라"고 촉구하며, 프랑스가 원자력 에너지를 활용하는 점을 미국 대비 장점으로 내세웠다. 마크롱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화석 연료 중심 정책을 겨냥해 "여기서는 시추할 필요가 없다. 그냥 꽂기만 하면 된다. 전기가 항상 이용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유럽 차원의 AI 전략 발표 예고
마크롱 대통령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위원장인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이 곧 유럽 AI 전략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전략이 "유럽이 AI 기술에서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유럽 내 스타트업 성장을 위해 더 넓은 내수 시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I 성명서 초안, 미국·영국과 이견 발생
하지만 회의에서 논의된 AI 관련 성명서 초안을 두고 미국과 영국이 불만을 제기했다. 논란이 된 초안에는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AI"라는 문구가 포함돼 있었으며, 영국 기술부 장관 피터 카일은 현재 영국 정부가 성명서 내용과 관련해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해당 문서가 반드시 영국의 국익과 일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초안에는 AI 기술의 기본 원칙으로 "인권 기반, 인간 중심, 윤리적, 안전한, 신뢰할 수 있는" 등의 표현이 들어갔지만, 기존 선언문들보다 AI 안전 문제를 덜 강조하면서 논란이 되었다. AI 안전 전문가 맥스 테그마크는 강력한 AI 시스템이 초래할 위험을 간과하면 "재앙을 부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AI의 환경 영향과 불평등 문제도 논의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AI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불평등 문제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마크롱 대통령의 AI 특사인 앤 부베로는 AI 기술이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할 수는 있지만, 현재와 같은 발전 방향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국제노조연합(UNI Global Union) 사무총장 크리스티 호프만은 노동자들의 AI 정책 참여가 불평등 심화를 막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AI 산업을 둘러싼 논의가 기술적 진보뿐만 아니라 규제, 윤리, 환경 문제까지 포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특히 유럽이 독자적인 AI 전략을 구상하는 것은 미국과 중국 중심의 AI 시장에서 차별화된 길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다만, AI의 위험성에 대한 논의가 축소되고 있다는 지적은 경청할 필요가 있다. AI가 인류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하면서도 혁신을 가속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