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정책 수립, '과학적 접근'이 핵심
AI 연구의 선구자로 알려진 페이페이 리(Fei-Fei Li) 교수는 인공지능(AI) 정책 수립을 위한 세 가지 핵심 원칙을 제시했다. 그는 AI 정책이 "과학적 사실에 기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현존하는 AI 기술을 중심으로 정책을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챗봇과 AI 기반 보조 프로그램이 자유 의지나 의식을 지니고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정책 결정자들이 비현실적인 시나리오보다 현실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혁신 촉진과 위험 최소화, 균형 필요
리 교수는 정책이 예기치 않은 결과를 최소화하면서도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AI 기술의 발전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책임 있는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AI 생태계 전반을 지원하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학계가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AI 연구 개방성 유지가 필수적
리 교수는 AI 모델과 컴퓨팅 도구의 개방성이 유지되어야 혁신이 지속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만약 지나친 제한이 가해진다면, 특히 자원이 부족한 학계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AI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AI 기술에 자유롭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AI 정책이 단순한 규제가 아닌, 장기적인 발전을 고려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한다.
페이페이 리 교수의 의견은 AI 정책 수립에 있어 실용적이고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환기시킨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과학에 기반한 정책이 중요하며, AI 기술의 개방성이 혁신을 지속하기 위한 필수 요소라는 주장에도 공감할 수 있다. 앞으로 정책 입안자들이 이런 원칙을 고려하여 현실적이고 발전적인 AI 규제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