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AI, 비영리 이사회에 특별 의결권 부여 검토
기업 인수 시도 차단 위한 조치
OpenAI가 기업 인수 시도를 막기 위해 비영리 이사회에 특별 의결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보도했다. 이 조치는 주요 투자자들의 결정을 무력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OpenAI가 공익 법인(public benefit corporation)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경영권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보인다.
비영리에서 '수익 제한(capped-profit)' 구조로 변화
OpenAI는 2015년 비영리 단체로 출발했으며, 2019년 '수익 제한(capped-profit)'이라는 독특한 구조를 도입했다. 이 구조는 일정 수준의 수익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되, 궁극적으로 공익을 우선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OpenAI는 다시 한 번 구조 개편을 추진 중이며, 이번에는 기업 경영과 공익성을 분리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머스크 투자 그룹, 97조 원 인수 제안…"이사회 단호히 거부"
최근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투자자 그룹은 OpenAI의 비영리 부문을 약 974억 달러(약 97조 4천억 원)에 인수하겠다는 제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OpenAI의 이사회는 만장일치로 이 제안을 거부했다. 이사회는 비영리 부문을 별도 조직으로 독립시키고 자체 인력과 리더십을 구축한 뒤, 영리 부문은 별도로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2026년 말까지 구조 개편 완료 목표
OpenAI는 이러한 구조 개편을 2026년 말까지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비영리 목적과 영리 목적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인공지능 개발의 공익성을 유지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의견
OpenAI의 비영리 이사회에 특별 의결권을 부여하는 방안은 경영 독립성을 지키기 위한 강력한 전략으로 보인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이 점점 더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 잡는 상황에서, 대형 투자자들의 과도한 영향력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OpenAI의 이번 변화가 기술 발전과 공익 사이에서 균형을 어떻게 맞춰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