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AI, DeepSeek 조사 관련 정부와 논의
OpenAI가 AI 모델 훈련 과정에서 데이터를 부적절하게 사용한 혐의로 DeepSeek을 조사 중인 가운데, 해당 조사와 관련하여 정부 관계자들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DeepSeek, OpenAI API 데이터 부정 사용 의혹
OpenAI는 DeepSeek이 자사 API를 통해 데이터를 부적절하게 확보한 후 이를 AI 모델 훈련에 활용했다는 증거를 확보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OpenAI 측은 DeepSeek의 행위를 조사 중이며, 이와 관련해 정부 당국과 대화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OpenAI, "DeepSeek과 우리의 차이 크다"
하지만 OpenAI 역시 자사 AI 모델 훈련 방식과 관련해 여러 출판사로부터 저작권 침해 소송을 당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OpenAI가 DeepSeek을 비판하는 것이 '내로남불'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Chris Lehane OpenAI 글로벌 정책 책임자는 "OpenAI의 훈련 방식은 도서관에서 책을 읽고 배우는 것과 유사하다"며 "반면, DeepSeek은 도서관의 책을 가져와 새롭게 포장한 뒤 자체 창작물인 것처럼 판매하는 행위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최근 뉴욕타임스가 OpenAI를 상대로 제기한 저작권 소송에서 사용한 논리와 유사하다.
논란 속 AI 기업들의 저작권 공방 지속
이번 사태는 AI가 콘텐츠를 학습하는 방식이 저작권과 충돌할 수 있는지를 두고 벌어지는 논란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OpenAI가 DeepSeek의 행위를 비판하면서도 동시에 저작권 문제로 소송에 휘말리고 있다는 점에서, AI 기술과 저작권의 접점이 어디까지 허용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OpenAI와 DeepSeek 간의 갈등은 AI 산업이 저작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할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AI 모델 훈련 과정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확보하고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지 않으면, 앞으로도 유사한 논란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 보호와 AI 기술 발전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